한낮이 기울다 뜻
발음:
해가 점심때를 지나다.
- 기울다: I 기울다1 [자동사]〖ㄹ불규칙/기우니, 기우오〗1 비스듬히 한쪽이 낮아지다.* 나뭇짐이 한쪽으로 기울었다.*[작은말] 갸울다1 .*[센말] 끼울다1 .2 (형세 따위가) 나빠지거나 못한 상태에 있다.* 가세가 기울었다.*신랑에 비하여 신부가 좀 기운다.3 어떤 방면으로 쏠리다.* 급진주의로 ~.4 해나 달이 져 가다.* 기우는 해.*달이 ~.I I 기
- 검기울다: 검-기울다 [검:-][자동사]〖ㄹ불규칙/~기우니, ~기우오〗검은 구름이 점점 퍼져서 날이 어둠침침해지다.
- 뒤편으로 기울다: 희미해지다; 쑥 들어가다; 움푹들어가다
- 한낮: 한-낮 [-낟][명사]낮의 한가운데, 곧 낮 열두 시를 전후한 때. [준말] 낮 2. = 오천2 (午天). 일고2 (一顧). 정양2 (正陽)1.
- 기울: I 기울1 [명사]밀, 귀리 따위를 빻아서 가루를 내고 남은 찌끼.I I 기울2 【氣鬱】[명사]《한의학》 심기가 울적하여 가슴 속이 답답하며 옆구리가 아픈 병. = 기울증.
- 울다: 울다 [울:-][자동사]〖ㄹ불규칙/우니, 우오〗1 아프거나 슬프거나 또는 너무 좋아서 눈물을 흘리거나, 눈물을 흘리면서 소리를 내다.2 짐승이나 벌레 따위가 소리를 내거나 지저귀다.3 어떤 기구나 물체가 소리를 내다.* 고동이 ~.*씨아가 ~.*종이 ~.4 어떤 물체가 바람을 받아 소리를 내다.* 문풍지가 ~.*전깃줄이 윙윙 운다.5 바람이나 천둥이 소
- 높낮이: 높-낮이 [놈-][명사]1 높고 낮음. = 고저1 (高低)1.2 《언어학》 한자음의 높고 낮음. 곧 상성, 거성, 입성은 높고, 평성은 낮다. = 자고저(字高低). 평측(平仄).3 고귀함과 비천함. = 고비4 (高卑).
- 기울기: 기울-기[명사]기울어지거나 비탈진 정도. = 경도5 (傾度). 경사도(傾斜度).
- 기울심: 부력
- 밀기울: 밀-기울 [-끼-][명사]밀을 빻아서 체로 가루를 내고 남은 찌꺼기. = 맥부. 맥피(麥皮). [참고] 기울1 .
- 갸울다: I 갸울다1 [자동사]〖ㄹ불규칙/갸우니, 갸우오〗좀 기울다. [큰말] 기울다1 1. [센말] 꺄울다1 .I I 갸울다2 [형용사]〖ㄹ불규칙/갸우니, 갸우오〗좀 기울다. [큰말] 기울다2 . [센말] 꺄울다2 .
- 골골 울다: 게걸스레 먹다; 통째로 삼키다
- 구울다: 구울다[자동사] 구르다1 .
- 귀가 울다: (병적으로) 귓속에서 윙 소리가 울리는 느낌이 나다.
- 그울다: 그울다[자동사] 구르다1 .